임정빈 개발 리포트(7인)

배포주소: https://6-studyforest-phytoncide-fs.netlify.app

깃허브 주소: https://github.com/Jam1eL1/6-studyforest-phytoncide-FS

개발 리포트 작성 항목

1. 프로젝트 개요

  • "공부의 숲"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돕는 웹사이트입니다. 이 플랫폼은 다양한 학습 자료와 도구를 제공하여, 사용자들이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
2. 담당한 작업 - 스터디 만들기 (FE / BE)

  • UI 디자인: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스터디 만들기 과정이 직관적이고 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구현했습니다.
    • 입력 폼: 닉네임, 스터디 이름, 소개, 배경, 비밀번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폼을 개발하였습니다.
    • 피드백 메세지: 입력 후 성공.실패에 대한 안내 메세지를 즉시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습니다.
  • 반응형 웹: 다양한 기기에서도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반응형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.
  • 상태 관리: React의 상태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입력값의 유효성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고, 필수 입력 항목에 대한 경고 메세지를 표현했습니다.
  • 서버 구축: Node.js와 Express를 이용하여 스터디 데이터를 처리할 서버를 구축했습니다.
  • API 개발: 스터디를 생성하는 RESTful API 엔드포인트를 구현하여 프론트엔드와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했습니다.
    • 스터디 만들기 API: 사용자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로직을 개발했습니다.
    • 데이터 검증: 입력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잘못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도록 했습니다.

3. 기술적 성과

  • 기술 스택:
    • 프론트엔드: React, Html, Css Modules, JavaScript
    • 백엔드: Node.js, Express, Prisma
    • 데이터베이스: PostgreSQL
    • 버전 관리: Git, GitHub
  • 주요 기능:
    • 스터디 생성 기능: 사용자 입력을 통해 스터디 정보를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.
    • 실시간 입력 검증: 필수 입력 항목에 대한 유효성 검사 및 피드백 제공.
    • API 통신: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RestFul API 구현.

4. 문제점 및 해결 과정

  • 팀원들과 GitHub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최신화를 진행하다 보니, 코드가 꼬이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습니다. 이러한 충돌로 인해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고, 개발 과정에서 혼란이 생기곤 했습니다.
    • 해결 과정: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팀원들과 함께 시간을 정해 PR을 올리는 규칙을 설정했습니다. 정해진 시간에 각자 작업한 내용을 정리하고,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협업의 원활함을 도모했습니다. 이러한 방법을 통해 팀 내 소통이 개선되고, 코드 품질도 향상되었습니다.

5. 협업 및 피드백

  • 팀원들과의 소통이 잘되어 좋았습니다
  • 서로 의견을 존중해 주면서 피드백을 반영하는 모습이 좋았습니다

6. 코드 품질 및 최적화

  • 입력 필드를 개별 컴포넌트로 분리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. 이를 통해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, 각 스터디 생성 폼에서 입력 필드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